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 

     

    전세가율 확인

     

    • 전세가율 : 주택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, 매매가격 5억 / 전세가격 3억인 경우 전세가율은 60%
    • 평균 전세가율 : 63.7%
    • 전세가율의 적정 수준은 60~70%이며, 80% 이상이라면 깡통전세 위험이 있으므로 전세 구할 때 매매가격도 꼭 체크해야 합니다.

     

    전세 → 월세 비교

     

    • 법정 전월세전환율 : 기준금리+2%(24년 4월 기준 전월세전환율 5.5%)

     

     

    • 계산공식 : (전세보증금 - 월세보증금)×전월세전환율/12, (전세 보증금 3억 → 월세 보증금 1억 전환시 월 임대료는 91.6만원)
    • 전월세전환율은 지역마다 달라질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월세 → 전세비교

     

    • 계산방법 : 월세보증금+((월세 × 12개월)/전월세전환율), (월세 보증금 1억, 월세 100만원을 전세로 전환시 약 3억1800만원)
    • 보증금을 높히고, 월세를 낮추고 싶다면 12를 곱한 1년치 월세를 구할 때 기존 월세-변경할 월세로 계산(월세 보증금 1억, 월세 100만원을 → 월세 50만원으로 하고 싶으면, 보증금을 약 1억원 상승)

     

    전월세전환율 활용

     

    • 전세, 월세 전환으로 네고하는 방법 : 대출 한도가 적은 중기청(1억), 버팀목(2억) 전세대출을 이용할 때 사용
    • 중기청 대출로 가고싶은 집의 전세가가 1억 3천만원일 때, 3천만원에 대한 보증금을 1억으로 하고 월세를 추가납입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전세 VS 월세

     

    • 전월세 전환율로 비교하기
    전세대출 금리 > 전월세 전환율 월세 유리
    전세대출 금리 < 전월세 전환율 전세 유리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최근 전월세 사기가 급증하고 있고, 특히 사회초년생 및 이제 성인이 된 대학생 등이 방을 구할 때 알아두면 임대인 및 부동산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특히 월세의 경우, 임대인이 대출금 이자보다 높게 받기 위해 월세세팅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고, 지역별 위치별 입지별로 월세 가격이 달라질 수 있으니 이점도 참고하여 주세요

     

    서울과 지방은 전월세 전환율이 다를 수 있습니다.

    반응형